알리는 즐거움/생활정보네요

호주 교육의 당면과제

옥상별빛 2022. 8. 16. 13:00

학생들의 학업 수준이 오르지 않는 요인 중 하나는 학부모들이 교육에 부여하는 가치가 낮기 때문이다.

One of the reasons why students' academic standards do not rise is that parents have a low value for education.

 

 종단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릴 적부터 가정에서 독서를 많이 하며 자란 아이들은 지속적으로 학업 성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에 책이 많다는 것은 부모가 독서와 교육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움을 중시하지 않는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은 교사에게도 힘든 일이다.

According to a longitudinal study, children who grew up reading a lot at home from an early age continue to have high academic performance. Having a lot of books at home means that parents are interested in reading and education. It is also difficult for teachers to teach children raised by parents who do not value learning.

 

학교는 학부모들에게 아무리 바빠도 부모의 역할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강조할 수밖에 없다.부모가 제 역할을 못하면 교사들이 열심히 해봐야 소용없다.

No matter how busy we are, the school has no choice but to stress parents to do their best in their roles. If parents don't play their role, it's no use for teachers to work hard,

 

교실에 교사가 들어오면 일제히 일어서서 인사하고 밤을 새서라도 꼬박꼬박 숙제를 해오는 것이 보편적인 동아시아 국가 학생들의 국제적 학업 수준은 대부분 상위권을 유지한다.

The international academic level of students in East Asian countries, which is common for teachers to stand up, greet, and do their homework all night, remains at the top.

 

엄격한 학교 규율과 학업 성적에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보고서도 있다. 또한 좋은 시스템을 가진 유치원을 다닌 것도 높은 학업성적과 관계가 깊다고 한다.

There are also research report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rict school discipline and academic performance. It is also said that attending kindergarten with a good system is closely related to high academic performance.

 

대부분의 학생들은 당장 미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의미 없는 시험에 에너지를 쏟지는 않는다.

most students do not immediately devote their energy to meaningless tests that do not affect the future.

 

스마트폰이 지배하는 세상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삶을 풍요롭게 만들지만 독서나 야외 활동, 사회생활을 저해하는 어두운 면도 함께 가지고 있다.

smartphones that have stopped students from thinking. Digital technology enriches life, but it also has a dark side that hinders reading, outdoor activities, and social life.

 

이 작은 스마트폰으로 모든 것이 가능한 세상을 살아가는 10대들에게 두뇌 개발이 무슨 의미이겠는가?

What is the point of brain development for teenagers living in a world where everything is possible with this small smartphone?

 

디지털 미디어를 과다하게 사용하게 되면 고도의 집중력과 문제해결 능력이 저하되고 주의가 산만해진다.

excessive use of digital media reduces high concentration, problem-solving skills, distracts.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쉽게 피곤함을 느끼고 주위가 산만하며 집중력이 낮다.

students who use smartphones for a long time easily feel tired at school, distracted, and low concentration.

 

성공적인 공교육 정책으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핀란드의 교육 전문가 파시 살베르그(Pasi Sahlberg) 교수도 이 같은 디지털 기술의 폐해를 우려했다.

Professor Pasi Sahlberg, a Finnish education expert who is drawing attention from all over the world for his successful public education policy, also expressed concern about the harmful effects of such digital technology.

 

그는 PISA 시험에서 2009년 이후 핀란드 학생들의 읽기 점수가 하락하고 있는 것도 스마트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똑같은 교육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이 드라마틱한 변화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한다.

He argues that smartphones have caused Finnish students to lose their reading scores since 2009 on the PISA test. In the meantime, he asks back, "How can I explain this dramatic change in the same educational system?"

 

국제학업 수준에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는 일본 학생들의 이번 PISA 2015 읽기 점수가 하락한 원인도 디지털 기술에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Experts say that digital technology is also the reason why the PISA 2015 reading scores of Japanese students, who remain at the top of the international academic level, fell.

문화적인 차이에 따라 PISATIMSS(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 비교연구)같은 국제 테스트의 타당성과 방법론에 관한 회의적인 시각이 다분하다.

There are many skepticism about the validity and methodology of international testing, such as PISA and TIMSS depending on cultural differences.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전 세계 학생들을 무작위로 뽑아 진행한 이 시험결과를 어떻게 믿고 광범위한 교육 시스템을 설립하는 데에 근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겠냐는 주장이다.

It is argued that the results of the test, which were randomly selected and conducted by students from all over the world who speak different languages, can be trusted and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 wide education system.

 

PISA 테스트를 통해서 국가 간 학생들의 수준을 비교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There is a limit to comparing the level of students between countries through the PISA test.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함께 공부하는 호주 교육 환경의 특성상 교사들은 학생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학습방법을 만족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국가에서 성공한 교수법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을 호주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Australian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study together, teachers have difficulty meeting the various learning methods required by students. Therefore, even if it is a successful teaching method in other countries,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Australia as it is.

 

대부분의 상위권 국가들은 뉴질랜드와 캐나다를 제외하고 싱가포르, 홍콩, 핀란드와 같은 단일 문화권 국가들이다.

호주같이 다문화권 국가들은 교육 정책을 세우는 것이 훨씬 더 복잡하다.

most of the top countries are monocultural countries such as Singapore, Hong Kong, and Finland, except New Zealand and Canada. In multicultural countries like Australia, it is much more complicated to establish education policies.

 

교사의 자질이 당연 가장 큰 학교 내부적 문제이다. 교육 정책에 있어 가장 우선시되는 사항은 교사의 자질이며, 교사들이 충분한 트레이닝을 받고 계속해서 직업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고 있다.

the quality of teachers is, of course, the biggest internal problem in school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education policy is the quality of teachers, and we support teachers as much as we can so that they can receive sufficient training and continue to develop professionally.

 

호주 학생들이 15년 전 같은 또래 학생들보다 읽기 능력에서 10개월이 뒤쳐져 있다는 것은, 다시 말해 교사들이 15년 전만큼 잘 가르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그러나 교사들 사이에서 교수 방법과 자질에 관한 논의는 그렇게 활발하지 않다. 대학교들이 교사들의 어려움을 감안해 입학 조건을 낮춘 것을 두고 암묵적인 의혹이 있기는 해도 말이다.

The fact that Australian students are 10 months behind their peers 15 years ago proves that teachers are not teaching as well as they were 15 years ago. However, discussions on teaching methods and qualifications among teachers are not so active. Although there are implicit suspicions that universities have lowered their admission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eachers' difficulties.

 

호주는 심지어 자질 있는 수학교사가 부족해 비전공자가 수학을 가르치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

Australia even lacks a qualified math teacher, which leads to non-major teaching mathematics.

 

학업 성취도가 높은 상위권 국가들은 일류 교사들을 채용하는 데 아주 적극적이다. 일례로 한국과 싱가포르는 학교 성적 상위 10% 안에 드는 졸업생만이 교사가 될 수 있으며, 핀란드와 한국은 그보다 더 치열해 상위 10%안에 들어야 한다.

High-achieving countries are very active in recruiting top teachers. For example, in Korea and Singapore, only graduates in the top 10 percent of school grades can become teachers, and Finland and Korea are more fierce than that, so they should be in the top 10 percent.

 

호주에서는 학교 성적이 중간 이하인 졸업자들도 교사가 될 수 있다.

In Australia, however, even graduates with moderate or lower school grades can become teachers,

 

학생 수가 적은 소규모 교실은 더 많은 예산을 필요로 한다. 학부모와 교사들에게는 좋지만 대규모 교실과 비교해 학생들의 학업 성적에는 큰 차이를 내지 못한다는 것이 연구 결과다.

Smaller classrooms with fewer students need more budget. Research shows that it is good for parents and teachers, but it does not make much difference i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compared to large-scale classrooms.

 

소규모 교실과 좋은 교사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면 질 좋은 교사를 택하는 것이 낫다.

if you have to choose between a small classroom and a good teacher, you'd better choose a high-quality teacher.

 

 호주 내 일부 상위권 사립학교들이 정부 지원금 학교 재원 표준’(School Resourcing Standard)보다 세배 가까운 수백만 달러 이상의 재정 지원을 받아왔다고 보도했다.

some top private schools in Australia have received millions of dollars in financial support, nearly three times as much as the "School Resource Standard."

 

학생 한 명당 배정되는 정부 지원금이 더 적은 사립학교는 수영장에 카메라를 설치할 돈이 있고, 더 많은 금액이 배정된 공립학교는 교내 물품을 교사들이 자비로 구매하는 부당함이 드러난 것이다.

Private schools with fewer government subsidies per student have money to install cameras in swimming pools, and public schools with more money have been found to be unfair for teachers to purchase school supplies at their own expense.

 

공립학교는 상대적으로 가난한 학생들을 위한 교육 기관이다. 2013년도 조사에 따르면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생들의 82%가 공립학교(public schools)에 진학하고, 12%가 가톨릭 학교, 6%만이 사립학교(independent schools)에 진학한다. 또한 84%의 원주민 학생들과 77%의 장애 학생들이 공립학교(state schools)에 진학한다.

Public schools ar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relatively poor students. According to a 2013 survey, 82% of student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go to public schools, 12% go to Catholic schools, and only 6% go to independent schools. In addition, 84% of Indigenous students and 77% of disabled students go to state schools.

 

정부는 많은 예산을 지출하고도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 이유는 그 돈이 꼭 필요한 곳에 사용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The government has spent a lot of money and has not achieved the desired results. The reason is that the money was not used where it was essential, he pointed out.

 

학생들의 성적 향상이 더딘 학교에 더 많은 예산이 배정되는 것이 돈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길이고, 이것이 호주 전체 교육 시스템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More budgets are allocated to schools where students' grades are slow to improve is the way to use it efficiently, and this is how to improve the overall education system in Australia.

 

경제적 지위가 낮은 가정에서 자란 하위 25% 15세 학생들은 평균적으로 상위 25% 학생들보다 교육적으로 3년이 뒤쳐져 있다.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왜 아이들의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The bottom 25% 15-year-olds who grew up in familie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are on average three years behind the top 25% in education. Why does low socio-economic status affect children's education?

 

 부모의 교육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 혜택 받은 또래 학생들과 같은 수준의 교육을 접하지 못하게 되고, 독서를 적게 하고, 돈이 있는 가정의 또래 아이들보다 적게 경험하고, 가족 수가 많아 공부할 공간과 환경이 주어지지 않을 수 있고, 교육에 가치를 두지 않는 부모 밑에서 자라 공부하는 데에 있어 도움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

Parents may not be able to access the same level of education as their peers, experience less reading, experience less than their peers in families with money, have a large number of families, and may not be given space and environment to study, and may not be helped by parents who do not value education.

 

호주 학교 교육의 첫 번째 당면 과제는 21세기에 요구되는 지식, 기술 그리고 특성 등을 파악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이것은 지속적으로 고려해 나가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The first challenges in Australian school education are the knowledge, skills and characteristics required in the 21st century

It is to identify and develop something. This is also a task to be considered continuously.

 

호주 15세 학생들의 학습 능력은 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난 12년 동안 호주 학생들은 수학과 과학능력에서 꾸준한 하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learning ability of 15-year-olds in Australia has been continuously declining for a long time.

Well, over the past 12 years, Australian students have been on a steady downward trend in math and science

 

학습을 위한 테크놀로지 사용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호주의 학교 교육과정은 아직도 과거의 전통적인 교실환경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using technology for learning is emerging, Australia's school curriculum is still mainly conducted in the traditional classroom environment of the past.

 

전체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 원리, 원칙에 대한 깊은 사고와 이해력이 중요시되는 요즘의 교육 방식과는 달리 호주의 학교 교육과정은 실제로 보이는 현상과 그 과정에 대한 지식에 중점을 두고 있다.

 

Unlike today's education methods, where deep thinking and understanding of the main principles and principles for solving the overall problem are important, Australia's school curriculum focuses on the actual phenomena and knowledge of the process.

 

과목들 간의 연계학습을 중요하게 여기는 요즘 상황과는 달리 호주 학교 교과목들은 각 과목들이 독립적인 과목으로만 역할을 하고 있는 추세이다.

Contrary to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linked learning between subjects is important, Australian school subjects are playing a role only as independent subjects.

 

위에 언급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의 변화로만은 가능하지 않다. 학교 교육과정의 변화 외에 우수한 교사들의 양성, 교수법의 변화 그리고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방식의 개발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not possible only with changes in the school curriculum. In addition to the changes in the school curriculum, the training of excellent teachers, the change in teaching methods, and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s for the new curriculum should be carried out together.

 

현재 호주 교육이 학생들의 졸업 후 21세기 삶을 고려한 교육을 얼마나 제공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과거의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졸업 후 평생 직업으로서 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직업들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준비 과정으로서의 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21세기의 교육과정은 현존하지는 않는 미래 지향적인 직업들까지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how much Australian education currently provides for students' 21st century life after graduation. In the past, curriculums focused on education as a preparatory process for knowledge and skills needed for general jobs that students can choose as lifelong jobs after graduation. However, the curriculum of the 21st century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future-oriented jobs that do not exist.

 

미래 지향적인 학교 교육과정은 팀워크를 통한 실제적이고 복합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고등학교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교육과정과 평가방식보다는 학생들에게 팀워크와 과목 간 연계학습을 가능케 하는 교수법이 요구된다.

The future-oriented school curriculum needs to focus on solving practical and complex problems through teamwork. For example, rather than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method of students conducted in a traditional way in high school, a teaching method that enables teamwork and linked learning between subjects is required.

 

이러한 교수법은 학생들이 그룹 활동을 통해 개인의 지식과 기술 개발,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혁신적인 문제 해결 방법 창안 등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학생들의 그룹과제는 과목 평가와 함께 평가의 일부가 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21세기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의 함양을 보여주는 전통적인 평가방식보다 폭넓은 평가 자료가 될 수 있다.

These teaching methods help students develop individual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group activities and create innovative problem-solving methods using technology. Students' group assignments can be part of the assessment along with subject assessment, and the results can be broader assessment data than traditional assessment methods that demonstrate the skills and knowledge needed in the 21st century.

 

두 번째 호주 교육의 당면 과제는 학교 간의 수준 차를 줄이는 것이다. , 학생들의 주거 지역이나 학교 위치와 상관없이 모든 학생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도록 하는 것이다.

The second challenge for Australian education is to reduce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schools. In other words, regardless of the student's residential area or school location, all students are required to receive a high-quality education.

 

학교 교육과 관련하여 우리가 직면한당면 과제는 학교 교육에서 뒤쳐진 학생들이 학업에 흥미를 느끼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다.

The challenge we face in relation to school education is to find ways to make students who fall behind in school education interested in their studies.

 

개개인의 학습 준비도와 학습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연령이나 학년 이외에도 학생들의 개인별 실제 학습 발달 과정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individual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needs,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actual learning development process of each student in addition to the learner's age and grade.

 

학습 평가는 일반적으로 특정 내용을 학습 후 학생들이 얼마나 수업 내용을 잘 숙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실행된다. 하지만, 성공적인 학습 지도와 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과거 학습 발달 과정에 대한 정보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Learning evaluation is generally conducted to understand how well students are familiar with the contents of the class after learning specific contents. However,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successful learning guidance and learning, it is necessary to review information on students' past learning development processes.

 

학생들을 가르치기 전에 학생들의 학습 발달 정도를 우선적으로 진단하는 목적은 학습자 개인별 학습 능력 정도에 따라 학습 지도를 하기 위함이다. 학습은 학습자들의 학습 능력에 맞는 학습 활동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first diagnosing the degree of learning development of students before teaching them is to provide learning guida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learning ability of each learner. Learning should be done through learning activities suitable for learners' learning abilities.

 

개인별 학습자들의 능력에 따른 교수법은 이미 많은 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의 교육은 학습자 능력에 따라 차별화된 학습 지도를 하는 것보다 모든 학생들에게 동일한 학습목표를 부여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는 것이 공평하다는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abilities of individual learners are already implemented in many schools. However, this type of education is achieved from the perspective that it is fair to give all students the same learning goals and evaluate them in the same way, rather than giving differentiated learning guidance according to their learner's

 

상대적으로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그들의 눈높이에 맞춘 개인별 학습목표에 따른 학습 결과로 평가하는 교육과정도 고려되어야 한다.

In order to increas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relatively low academic achievement, a curriculum that evaluates learning results according to individual learning goals tailored to their eye level should also be considered.

 

학생들의 자신감을 키워주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들을 매년 성적 부진아로 분류하여 저평가하는 것보다는 그들에게 현실 가능한 학습목표를 주고 그 목표를 이루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The best way to improve students' confidence is to give them realistic learning goals and help them achieve them, rather than classifying them as undervalued every year.

 

학교 성적표는 일반적으로 학생들을 일 년 단위로 다른 학생들과 비교하여 얼마나 많은 성적 향상을 나타내었는지를 보여준다. 그러한 정보는 학부모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내용이기도 하다. 학생들 개인이 한 학기 동안 이룬 학업 성취도와 관련한 정보나 어떤 내용을 배웠는지는 그다지 관심의 대상이 아니다.

School report cards generally show how much grade improvement students have shown in comparison to other students on a yearly basis. Such information is also the content that parents are most interested in. It is not of much interest to see what information or content each student learned about his or her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e semester.

 

하지만 그러한 정보는 학습 발달이 낮은 학생들이 비록 학교에서 기대하는 학습목표를 이루지는 못했지만 개인적으로는 어떠한 성장을 보였는지를 알려주는 것이기에 중요하다.

However, such information is important because it tells how students with low learning development have personally grown, although they have not achieved the learning goals expected in school.

 

학부모들도 자녀들의 성적보다는 일 년 동안 그들의 발달 과정에 좀 더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 실패를 인지시키는 성적표는 학부모들에게는 자녀들의 학습 능력의 불충분함을 알리고, 학생들에게는 노력과 성공 간의 관계에 대한 개념을 약화시킨다.

Parents also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ir development process for a year than to their children's grades. A report card that recognizes failure informs parents of their children's inadequacy in learning, and weakens the concep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ffort and success for students.

 

지속적인 학습부진은 학교생활에 대한 환멸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성적이 다소 떨어지는 학생들 중 많은 수가 학교에 대한 기대를 버리고 학교를 떠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 우리는 많은 수의 학생들이 스스로를 하찮은 존재로 여기고 비관하도록 방치해서는 안 된다.

Continuous poor learning can lead to disillusionment with school life. In fact, many of the students with slightly lower grades are leaving school without expectations. At the national level, we should not let a large number of students regard themselves as insignificant and pessimistic.

 

학습자 개인별 학업 성취도와 요구도에 따른 교육과정을 강구해 보아야 하며, 또한 상대평가에 의한 성적에만 의존하는 현재의 성공적인 학습의 개념을 바꾸어야 한다.

It is necessary to devise a curriculum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demand of each learner, and to change the concept of current successful learning that relies only on grades by relative evaluation.

 

유치원에서 아동들의 학습 능력 발달은 학부모와 유치원 교사들 간의 관계, 인지 발달 정도, 영양 발육 상태, 좋은 환경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학부모들의 신념과 태도 그리고 적절한 행동도 미취학 아동들의 긍정적인 대인관계와 자기 발달 노력에 영향을 주기에 매우 중요하다.

In kindergarten, children's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the degree of cognitive development, nutritional development status, and good environment. Parents' beliefs, attitudes, and appropriate behavior are also very important to influence preschooler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development efforts.

 

또한, 학습 능력 발달이 늦는 아동들이나 장애가 있는 학생들을 위한 상대적으로 양질의 그리고 알맞은 복합적인 조기교육과 보살핌을 받을 수 있는 장치 또한 중요하다.

It is also important to have a relatively good and affordable combination of early education and care for children with slow learning skills 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또 한 가지 필요한 것은 아동들의 학습 발달 과정과 발육 상태에 대한 이해력과 경험을 갖춘 미취학 아동 전문가들의 양성이다. 전문가들을 통해 미취학 아동들의 사회성과 감성적 발달과정을 지속적으로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한 발달 지체 아동들의 조기 발견,그들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실행 등을 포함하는 유치원 아동들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Another thing that is needed is the training of preschooler experts with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in children's learning development process and development status.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sought for kindergarten children, including early detection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and implementation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m, based on continuous research on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processes of preschoolers through experts.

 

학교 교육과 관련하여 우리의 가장 큰 당면 과제는 교육 전문가다운 면모를 갖춘 교사들의 양성이다. 학습 지도가 높은 나라들은(예를 들어, 싱가포르, 대한민국, 핀란드) 우수한 인재들을 교사로 임용하면서 학교 교육의 질을 높였다.

In relation to school education, our biggest challenge is the training of teachers who are professional in education. Countries with high learning guidance (e.g., Singapore, South Korea, Finland) have improve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by hiring excellent talents as teachers.

 

호주에서도 우수한 인재들을 학교 교사로 임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In Australia, the government seems to be working to appoint talented people as school teachers.

 

교사의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문해 능력과 수학 능력이 전체 호주 고등학생들 중 30% 이내 들어야만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It states that literacy and math skills must be within 30 percent of all Australian high school students to qualify as teachers.

 

하지만, 호주의 현재 실정은 고등학교 관련 성적 순위 30%이내에 드는 학생들이 교사가 되는 경우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으며, 그 상황은 지난 3년간 점점 더 악화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Australia's current situation continues to reduce the number of high school-related students who rank within 30 percent of their high school-related grades becoming teachers, and the situation has been getting worse over the past three years.

 

교육 시스템이 발달한 나라들은 철저하고 수준 높은 사범교육 코스와 전문 교사 양성 코스를 운영한다. 핀란드의 경우, 전문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원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Countries with developed educational systems run thorough and high-quality normal education courses and professional teacher training courses. In the case of Finland, you must complete a graduate course to become a professional teacher.

 

꾸준히 국제 기준 학습 능력 평가에서 낮은 평가를 받고 있는 호주의 경우 양질의 교육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우수한 교사 양성과 정부의 정책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상대적으로 교육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나라들로부터 배울 수 있다.

Australia, which is consistently undervalu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learning ability evaluation, can learn from countries that have relatively successful education systems that foster excellent teachers and support government policies to build quality education systems.

 

학교 교육과 관련하여 해야 할 일들이 아주 많다. 호주의 학교 교육과 관련하여 직면한 당면 과제 중 일부는 좌절감을 느낄 정도로 개선이 힘들어 보이기도 하다.

There are so many things to do with school education. Some of the challenges facing school education in Australia seem frustratingly difficult to improve.

 

지속적인 개혁 노력, 학교 예산 확대, 정기적인 정부의 관련 평가 보고서와 변화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개선의 모습이 아직까지는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가 직면한 문제점을 모르고 있어서가 아니라, 근본적인 문제점이 학교 밖에 존재하거나 현재의 교육과정 깊숙한 곳부터 시작되기에 변화를 주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Despite continuous reform efforts, increased school budgets, and regular government assessment reports and demands for change, no significant improvement has been seen so far. This phenomenon is not because we are unaware of the problems we face, but because the underlying problems exist outside of school or begin deep within the current curriculum, making it difficult to change.

 

정책은 때때로 가장 손쉬운 해결책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진정으로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를 원한다면 가장 핵심적이고 어려운 점부터 해결해 나갈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Policies sometimes tend to focus on the easiest solution. However, if you really want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you should be prepared to address the most important and difficult points.

 

* 원문 출처: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

'알리는 즐거움 > 생활정보네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엔다케의 정체  (0) 2022.09.04
호주 지폐 속의 인물  (0) 2022.08.29
차량 에어컨 관리  (0) 2022.07.29
가전제품의 전자파  (0) 2022.07.26
휴대용 선풍기의 전자파  (0) 2022.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