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유치원 영어수업을 금지하겠다고 하여 반발이 거세지자 당분간 유예하겠다고 재검토를 하며 혼란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중순 초등 1, 2학년에 이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방과후 및 특별활동에서까지 영어 수업 금지 방침이 발표된 이후 청와대 국민청원이 들끓었습니다.
이에 교육부는 급한 불을 끄랴 확정된 바 없다고 변명하는 자료를 내놓았습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영어수업 금지 방침에 급제동을 건 데에는 이미 국제학교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영어를 가르치고 있고 사교육 기관에서도 영어를 가르치고 있어 만약 영어교육을 금지시키면 반발이 거세질 우려가 있어 교육부는 원칙적으로 금지 방침은 밀고 가되 시행은 1년 유예하는 방향으로 후퇴했습니다.
교육부총리는 학부모가 동의하지 않는 정책을 시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고 놀이식 영어수업까지 금지하는 것은 과도하다고 보며 보류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영어교육을 금지하려면 모두 공교육 안으로 들어와야 가능한데 교육부는 흙수저 아이들을 위해 섣부른 정책을 발표했다가 호되게 질타당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영어가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교괴목으로 남아있는 한 사교육을 잡을 수도 없고 유치원과 어린이집 영어교육을 금지시킬 수도 없습니다.
공교육 내실화에 가장 큰 걸림돌은 바로 영어교육인데 우리 학부모들은 영어 때문에 엄청난 비용과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면 근본적인 개혁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그렇다고 학교에서 영어 교육을 없앨 수도 없는 상황에서 규제 위주 정책만으로 사교육을 막을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따라서 교육부는 선행학습 금지법에 따라 유치원과 어린이집 영어교육까지 막겠다는 것은 결국 이명박 정부 때의 영어몰입교육을 적폐라 보고 없애려 하는 일련의 조치로 보아지는데 모든 적폐를 일소할 수는 없습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고 하는데 교육부는 장기적인 교육 마스터 플랜을 세우고 공론화 과정은 거치되 학부모들이 동의하면 시행하고 반발하면 철회하며 오락가락하며 학생들을 실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됩니다.
사교육이 결국 부자집 아이들의 출세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는 이상 가난한 집 아이들이 그나마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혹은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배우지 못하게 하는 것은 점점 흙수저 아이들을 죽이는 정책입니다.
언어는 그것이 모국어든 외국어든 필요하면 조기에 배우게 하는것도 부모의 판단에 맞겨야지 선행학습금지법까지 만들며 법으로 규제하는 적폐부터 청산해야 할 것입니다.
이제 교육부에서 할 일은 단계적으로 수능 영어절대평가도 아주 쉽게 내어 사교육을 받지 않아도 좋은 등급을 받을 수 있도독 영어 평가 방법을 개선해야 합니다.
필자가 지난해 일본어와 중국어 수능 문제를 풀어보고 서너 문제씩이나 틀리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란 것은 문제가 너무 어렵다는 것이었습니다.
3년 전까지만 해도 제2 외국어 수능 문제를 풀어보면 어쩌다 한 문제 틀리는 정도였는데 이제는 난이도가 너무 높아진 것을 보며 이래서는 사교육을 잡을 수가 없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중국어와 일본어를 수십년동안 독학으로 공부하여 외국인과 능숙하게 소통을 할 수 있어도 막상 수능 문제를 풀면 많이 틀리는데 이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오죽해야 학생들은 학교서 제2외국어 난이도를 낮추어 배우지도 않는 아랍어와 베트남어를 신청하여 시험을 보는데 교육부는 이런 적폐는 없앨 생각을 왜 하지 않는지 답답합니다.
화제가 빗나갔지만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놀이로 영어수업을 허용할 것인지 말것인지는 지방선거가 끝난 다음 공론화과정을 거쳐 밀고나가야 합니다.
다만 교욱부에서는 중고등학교 영어 평가도 아주 쉽게 내고 수능을 더 쉽게 내어 돈없는 집안의 아이들도 영어 때문에 좌절을 겪는 일이 없도록 하는 정책을 펼쳐나가야 합니다.
*사진 출처 : 네이버
'드러내는 즐거움 > 이러면 안 되지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권국가 중국을 비난하며 (0) | 2018.01.17 |
---|---|
공공 임대주택을 늘려 주세요 (0) | 2018.01.17 |
부끄러운 제주국제공항 (0) | 2018.01.13 |
김정은을 칭찬하는 푸틴 (0) | 2018.01.12 |
공영방송에서 특정 상품 광고? (0) | 201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