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시행을 앞둔 주52시간 근로시간 단축 정책은 결국 정부가 6개월 유예하기로 하면서 준비 미흡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주52시간 근로제는 탄력적 근로시간을 적용하는 업종을 얼마나 확대해야 하는지를 더 검토하고 시행하지 않으면 많은 문제에 직면할 것 같습니다.
주52시간 근로제는 일률적으로 적용할 것이 아니라 산업별, 기업별로 달리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 지배적입니다.
기업이 기한 내에 주문 생산을 끝내기 위해서는 주52시간 근로제는 큰 제약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주52시간 근무를 맞추기 위해선 지금보다 직원수를 크게 늘려야 하는데 영세한 업체에서는 직원 구하기도 어렵고 임금도 부담이 됩니다.
반면에 노동자들은 낮은 임금을 보전하기 위해 추가 근로수당을 받을 수 있지만 주52시간 근로제로 무조건 퇴근을 강요당하면 생계에 손해가 큽니다.
*사진 출처 :페이스북
'드러내는 즐거움 > 안타까워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종필씨 별세 (0) | 2018.06.24 |
---|---|
한국 축구 16강 사실상 좌절 (0) | 2018.06.24 |
모기퇴치기가 효과 있을까요? (0) | 2018.06.21 |
두드러진 타고투저 현상 (0) | 2018.06.21 |
개그맨 김태호 사망 (0) | 2018.06.20 |